Quantcast
Channel: good7101910님의블로그
Browsing all 2392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말레이시아에서 온 Yohendran Nadar Arulthevan 학우

이번 6월 <외국인의 성대생활>에서는 말레이시아에서 온 Yohendran(Yohen) Nadar Arulthevan 학우를 인터뷰했다. Yohen의 고향 말레이시아는 ‘멜팅팟’의 나라다. 수많은 종교와 인종, 언어, 그리고 생활 양식을 서로가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여 문화의 ‘다양성’을 잘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다고...

View Article


UCC 콘테스트 우수상 수상 수원 또바기 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로 경제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사람이 많이 돌아다녀야’ 장사가 되는 지역 소상공인의 피해가 극심하다. 이에 수원시 지속가능 도시재단은 2020년 코로나19로 침체되어 있는 지역사회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수원시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홍보 영상'을 제작하는 ‘지속가능도시 수원 UCC 콘테스트’를 주최했다. 이 대회에서 우리...

View Article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 - 이상구 수학과 교수

수학과 이상구 교수는 어릴 때 수학을 탁월하게 잘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수학 연구는 천재들이나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고교 시절 그의 멘토였던 형에게 대학에서 어떤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자신에게 맞을 것 같냐고 물었다. 형은 긴 편지에 한 줄로 의대나 치대를 가면 큰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고, 원한다면 본인과 같이 기초학문을 공부하는 것도...

View Article

2021 학생성공 선배 멘토링 - ‘선배’ 멘토가 말하는 대학생활과 진로

전례 없는 팬데믹 상황으로 입학식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비롯한 모든 행사가 취소되고 강의는 전면 온라인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생활에 대한 신입생과 저학년부 학생들의 정보와 경험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학생성공센터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나마 해소하고자 선후배 간의 네트워킹을 돕는 <skku 선배 멘토링> 프로그램을...

View Article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랑이 과연 가능할까?

우리 인류는 지난 수 십 년간 인공의 인류를 만들려는 시도를 거듭했다. 만약 인류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인공 인류의 개발이 성공한다면, 어쩌면 그것은 이 지구 위의 인류로서 달성할 수 있는 가장 고차원의 기술을 개발한 것임이 틀림없다. 오늘날 21세기, 우리는 인간 이성의 모방을 넘어 감정의 구현까지를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의 등장을 꿈꾸는 시대를...

View Article


율전 카페 소개

저번 킹고복덕방에서는 율전 소재의 한식 맛집을 소개했다. 율전 시리즈를 이어서 이번 킹고복덕방에서는 율전 소재의 카페를 소개하고자 한다. 많은 카페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각 카페만의 이색 음료와 디저트를 선보인다. 따라서 이번 킹고복덕방에서는 각 카페들의 시그니처 음료, 그리고 디저트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거리다방 위치: 경기 수원시 장안구...

View Article

김태성 교수의 Nano Particle Technology Lab (NPTL)

이번 연구실 탐방은 CMP/세정, 에어로졸, 그리고 플라즈마 공정과 같은 미세입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김태성 교수님의 나노입자 공학연구실(NPTL)을 취재했다. Q. NPTL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나노입자 공학연구실 (Nano particle technology laboratory)은 유체상 미세입자의 거동에 대한 연구 및 플라즈마 활용 연구를 진행...

View Article

조규남교수의 금속서예

하루에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 아마 대부분 학생이 하루의 절반 가까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며 보낼 것이다. 때때로 그 안에 매몰되어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디지털 세상에서 떠나 자신을 들여다보고 내면을 수양하고 싶은 학생에게 조규남 교수의 ‘금석서예’ 수업을 들어보길 추천한다. ◎ 수업방식 기초부터...

View Article


[우리 역사 돌아보기] 잊혀진 이름, 식민지기 여성들에 대하여 1. 정칠성

우리 역사교육은 여성과 사회주의에 무심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전후까지 활동한 사회주의 여성운동가들에 대한 연구는 다른 남성 운동가들에 비해 소외된 점을 우리는 역사 교과서를 통해서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초중고 교육기관에서 항일단체 ‘신간회’에 대해서는 관련 인물과 함께 자세히 학습했던 기억이 있을 테지만 ‘근우회’에 대해서는 신간회의 자매단체라는 사실...

View Article


새내기와 막학기의 왓츠인마이백

https://www.youtube.com/watch?v=3fUgTRrBuGA 취재 , 편집 김예빈 김태희 황희진 기자

View Article

[행운의 은행나무] 12화. 축제를 즐겨볼까?

취재, 편집 현경선 기자

View Article

추신, 나도 네 꿈을 꿔.

글 : 천예원 (통계학과 20) 0. 작년 어느 날, 서울에 눈이 아주 많이 내렸다. 우리 엄마는 눈이 내리지 않는 따뜻한 경상도 지방에서 일곱 살이 되던 해 서울로 상경해 살고 있다. 우리 엄마는, 지난 며칠간의 눈은 태어나서 본 눈들 중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고 했다.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는 것이 이번 눈이 그만큼 많이 내렸다는 의미인지,...

View Article

2021 학생성공 선배멘토링 공로장 수여식

지난 6월 18일,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국제관 학생성공센터에서 2021 학생성공 선배멘토링 멘토 공로장 수여식이 있었다. 우리 대학 학생성공센터는 작년에 이어 올 5월에도 ‘학생성공 선배멘토링’을 시행했다. 작년과 달리 올해는 외국인유학생지원팀의 도움을 받아 외국어멘토링(중국어/영어)이 추가돼 중국어멘토링과 영어멘토링을 함께 했다. 학생성공 선배멘토링은 본교...

View Article


외국인 교수가 말하는 대학원 생존기

지난 6월 24일 목요일, 자연과학캠퍼스 제2공학관에서 제2회 대학원 학생 성공 스토리 특강이 진행되었다. 연사를 맡은 엄금철 교수는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이후 지난해 가천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에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외국인 교수가 말하는 대학원 생존기’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번 특강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Webex를...

View Article

아버지와 함께 한 북중남미 여행기 임풀잎 원우

해외 여행을 자유롭게 하지 못한 지 한참이 지났다. 아마 과거에 찍었던 해외 여행 사진들을 갤러리와 SNS에서 뒤적이며 아쉬움을 달래기도 하고 그 당시 눈 앞에 펼쳐지던 풍경을 사진으로나마 추억하고 있을 터다. 여행을 어디로 갔는지 만큼 중요한 것은 언제, 누구와 함께 였는가다. 여행을 떠나 누구와 시간을 보냈는지는 두고두고 생각난다. 이번 <성대생은...

View Article


독일에서 온 Agnes Schöner 학우

“지난 여름 속 당신의 눈, 그 깊은 어느 모서리에서 자란 달에 레몬 냄새가 나서 내 볼은 떨린다. 레몬 꽃이 바람 속에 흥얼거리던 멜로디처럼 눈물 같은 흰 빛 뒤안에서 작은 레몬 멍울이 열리던 것처럼 내 볼은 떨린다.” – <레몬>, 허수경 여름이 축의 뒤편으로 구겨지기도 전에 우린 벌써부터 이 검질긴 계절에 싫증을 낸다. 예고 없이 내린...

View Article

인공지능학회 TNT 팀

정보통신기술의 영향이 나날이 커져가는 요즘이다. 이제는 이 거대한 변화의 파도를 피하지 말고 진정으로 동참해야 할 때가 왔다. ‘스마트도시 리빙랩’이란 기술적으로 진보하는 사회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도시 문제를 정보통신기술로 해결하는 것이다. 이에 2020년 서울특별시와 서울디지털재단은 서울시의 각종 도시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도시...

View Article


역사를 줌 인(zoom – in)하다

우리가 교과서 속 접하는 왕들의 업적, 국가의 중차대한 사건들은 대개 ‘중요한 역사’로 인정받으며 오랜 시간 동안 인류 역사연구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거대한 역사적 흐름을 살펴볼 때, 숲이 아닌 나무를 조망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일상생활 속 평범한 개인 혹은 집단은 그 중차대한 역사를 이끌어낸 엄연한 주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미시사를...

View Article

성균관대박물관 기획전

1946년 개관한 본교 박물관은 시류를 반영한 다양한 전시를 꾸준히 개최해왔다. 우리 대학 박물관의 이번 기획전 주제는 <감식안-창조와 모방의 경계>이다. 21세기 현대사회의 정보와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재가공이 용이해진 미술은 수많은 위작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시류에 따라 감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기획전은 한국미술에서의 모방을...

View Article

길은 있다고 믿으면 보인다 : 글로벌리더학부 알리미

The Way to GLD : 재학생 홍보대사와 함께하는 글로벌리더학부 설명회 지난 7월 10일, “The Way to GLD: 재학생 홍보대사와 함께하는 글로벌 리더학부 설명회”가 인문사회과학캠퍼스 법학관에서 진행되었다. 설명회를 주관한 글로벌 리더학부 공식 홍보대사 알리미(이하 ‘글리미’)는 Webex를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약 60명의 고등학생들을...

View Article
Browsing all 2392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