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민 교수의 예술사
예술사라는 단어만 듣고 많은 미술 양식과 유파를 모두 암기해야 된다는 생각에 지레 겁먹는 학우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술가들과 그들의 걸작들이 모두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서로 영향을 끼치며 나타난 점을 배우다 보면 절대 암기 위주의 수업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서양의 문명과 역사 속에서 예술이 어떻게 생성되고 발전되었으며 오늘날 동시대 예술에 이르기까지...
View Article오래도록 아이를 찾습니다 : 장기 실종아동을 찾아서
우리는 일상 속에서 꽤 자주 중요한 것들을 대충 보고 지나치곤 한다. 그중 하나가 ‘실종 아동 찾기’다. 최근 ‘실종 아동 찾기’는 생활 속 꽤 많은 곳에 들어와 있다.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광고판에도, 편의점에서도, 카페 컵 홀더에서도 실종 아동 찾기 광고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다 문득 이렇게 옛날에 실종된 아동을 지금까지도 찾나 하는 생각이 스친다. 그...
View Article동양 문인사대부들의 놀이문화(Ⅰ)
글 : 조민환 교수 유학대학원 특수대학원장 ◆ 무슨 놀이를 하며 즐길 것인가? 최근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혼자 있는 시간에 ‘무엇’을 하며 지낼 것인가? 무엇을 하면서 지내면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그런 즐거움이 우리들의 ‘심신 건강’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더 나아가 우리들의 삶에 어떤 ‘긍정적인 요소’로...
View Article함께 사는 세상을 만드는 KLC : SKKU의 아이패드 파우치 펀딩
창업동아리 KLC SKKU에서 성균관대의 정체성이 담긴 명륜당 아이패드 파우치 펀딩을 진행 중이다. KLC SKKU는 Korea Legacy Committee의 성균관대 지부로서 창업동아리로 활동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KLC SKKU는 한국의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를 알리고 행동을 통해 변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을 주 목표로 하고 있다....
View Article프랑스에서 온 Maëlly Mussot 학우
2021년 1학기 정규학기가 공식적으로 마무리되었다. 학기 중엔 천천히 흐르던 시간이 괜히 빨라진 것 같은 묘한 감정에 사로잡혀 보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재충전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번 <외국인의 성대생활>에서는 학기가 종료됨과 동시에 모국인 프랑스로 새 삶을 준비하기 위해 출발한 경영학과 Maëlly Mussot 학우를 만났다. ◆ 자기소개...
View Article마음을 담은 목걸이를 만듭니다 –오포르 허유진, 김수연 학우
액세서리를 선물하는 것은 마음을 전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사랑이든 애정이든 감사이든 화려하고 아름다운 액세서리에 마음을 담는다는 점에는 다름이 없다. 여기서 드는 생각은 아름다운 액세서리 자체에 직접 마음을 담으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이번 <성대생은 지금>에서는 바로 이런 생각을 ‘오포르(ofor)’라는 브랜드를 통해 실제로 펼쳐내...
View Article“젊음과 꿈이 있다면 우선 시작해봐요” - 혜화 김의구 사장
소설<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의 주인공 도리안 그레이는 악마에게 자신의 영혼을 내주고 영원한 젊음을 얻는다. 물론 현실 속 인간은 악마와 계약을 맺을 수도 평생의 젊음을 유지할 수도 없다. 인간은 영원하지 않은 시간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영속성이 없는 시간이 존재하기에 인간은 용기를 품고 도전하며 끝내 변화를 이끌어낸다. 이번...
View Article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Qcenter)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Qcenter)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양자정보과학 연구개발생태계 조성사업」아래 국내 양자정보과학 분야 연구활동 지원을 위해 성균관대학교에 설립된 센터다. ‘양자정보기술’은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분야가 되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우수한 과학 기술력을 가진 한국이지만 유독 ‘양자정보기술’에 관해서는 불모지에 가깝다. 이 시점에서...
View Article지속 가능성 실천을 위한 슬기로운 소비생활
6월 5일은 UN에서 지정한 ‘세계 환경의 날’이다.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목적으로 지정되어, 한국에서는 1996년부터 환경의 날 관련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환경의 날을 맞아 여러 브랜드에서 환경 보호를 위한 다회용기 캠페인을 진행하거나 제로 웨이스트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홍보하는 영상이나 포스터를 본 적이...
View Article성균관대학교 킹고 응원단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보기는 힘들지만, 학교 오리엔테이션과 MT, 축제 등을 화려하게 장식하던 학교 단체가 있다. 학생들의 열정 가득한 환호소리, 웅장한 음악과 화려한 의상, 그리고 열정을 담아 하나하나 세심하게 표현하는 동작까지. 6월 <동아리탐방>에선 이 세가지에 힘입어 매번 힘찬 공연을 보여주는 ‘킹고응원단’을 소개하려고 김세민...
View Article다시 돌아온 레트로 패션 – 악세서리 편
‘유행은 20년 주기로 돌고 돈다’라는 말이 있다. 복고 열풍이 지속되면서 과거 유행했던 패션 아이템들이 뉴트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뉴트로는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단어로 복고를 지금 시대에 적용시켜 새롭게 즐기는 것을 말한다. ‘뉴트로 열풍’이 계속되면서 다시 등장한 패션 아이템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 ◆곱창밴드...
View Article동양 문인사대부들의 놀이문화 (Ⅱ)
글 : 조민환 교수 유학대학원 특수대학원장 ◆ 음다(飮茶)문화와 투차(鬪茶) 놀이 문인들의 삶에서 차는 빼놓을 수 없는 음료다. 음다 과정에서도 놀이를 통한 즐거움을 얻고자 하였다. 황제이면서 서화에 뛰어난 장기를 보인 송대 휘종(徽宗)이 그린 <문회도(文會圖)>에서 볼 수 있듯이, 휘종은 신하들과 차를 마시는 다연(茶宴)을 베풀고, 아울러 차와...
View Article실존이란 무엇인가? - 실존주의적 사조와
몇 년 전 대한민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 김연자의 ‘아모르 파티’라는 노래를 아는가? 중독성 있고 신나는 멜로디로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제목의 ‘Amor Fati’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깊게 생각해 본 사람은 많이 없다. 이번 학술에서는 ‘아모르 파티’의 의미와 그에 담긴 ‘실존주의적’ 사조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 먼저 실존주의라는...
View Article독일 - Tuebingen University
글 : 이정하(통계 17) ♠ 2020년 10월 14일 출국, 11월 2일 학기 시작, 2021년 3월 학기 종료 ● 비자 신청 서울역에 있는 독일 대사관에서 발급받으면 됩니다. 부산에도 하나 있는데 거기서는 비자 발급이 안된다고 했어요. 이제는 독일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서 가서 만들어도 됩니다. 한국어가 편하신 분은 넉넉잡아 2달 전부터 준비하세요. 예상...
View Article제16회 학생성공스토리 - 김어진(경영 20) 학우 편
지난 6월 10일 목요일, 자연과학캠퍼스 제2공학관에서 제16회 학생성공스토리 특강이 진행되었다. 연사를 맡은 본교 경영학과 2학년 김어진 학우는 수원 시 지속 가능한 리빙랩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경진 대회 도전과 보람찬 수상: 팀 프로젝트 성공 스토리’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이번 특강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View ArticleExCampus 시즌 3 현장 스케치
우리 대학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중 작년부터 시작된 ExCampus는 많은 학생들의 이목을 끌었다. 다양한 교수와 동문들이 참여하는 ExCampus를 통해 본교 재학생들은 교과수업 이외에도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받았다. ExCampus는 교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교원들과 저명한 동문들의 강연을 통해 지식 공동체를 구현하고,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View Article제1회 대학원 학생 성공 스토리 특강 - 성균나노 과학기술원 이진욱 교수
지난 5월 27일, 제1회 대학원 학생 성공 스토리 특강이 진행되었다. 나노공학과 및 성균 나노 과학기술원의 이진욱 교수가 연사자로 참여해 ‘해외 포스트닥터의 길’을 주제로 국내 대학원생의 포닥 성공 스토리를 담았다.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웹엑스로 진행되었지만, 첫 대학원생 성공 스토리 특강인 만큼 많은 학생이 참여했다. # 진로에 대한 고민 이진욱 교수는...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