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대한 인사이트, 금융투자학회 S.T.A.R
전 세계 부가가치의 90%를 창출하고 있으며 어떤 이들에게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찬사를 받는 것이 있다. 바로 주식회사이다. 21세기 자본주의를 논할 때 금융과 주식회사를 빼는 것은 상상조차 안 될 정도로 이 둘은 우리 사회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그만큼 높은 위상을 가진 존재이다. 주식이란 주식회사의 사원인 주주가 출자자로서 회사에 대하여 갖는...
View Article나의 메이크업과 패션을 책임 져 줄 뷰티 유투버
주변 친구들은 어디서 배운 건지 옷도 예쁘게 입고 화장도 잘한다. 내가 입는 옷은 항상 비슷한데 친구는 쉽게 찾기 힘든 옷을 찾아온다. 화장품도 뭐가 좋은지도 모르겠고 내가 화장하면 어딘가 부자연스러운 것 같다. 위와 같은 생각을 해 봤던 사람들의 메이크업과 패션을 위한 해결책이 있다. 바로 뷰티/패션 유투버(YOUTUBER)다. 그들은 YOUTUBE라는...
View Article모든 날이 소중하다 - 대니 그레고리 저
"모든 날이 소중하다.”는 대니 그레고리의 첫 일러스트 에세이다. 그는 영국에서 태어나 호주, 파키스탄 등 여러 나라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열세 살 때 뉴욕에 정착한 뉴요커이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년 간 광고업에 종사했지만 그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업계 종사자들과 사뭇 다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당신이 다시 꿈에 다가설 수 있도록...
View Article지옥처럼 검고, 죽음처럼 강하며, 사랑처럼 달콤하다.
‘지옥처럼 검고, 죽음처럼 강하며, 사랑처럼 달콤하다.’ 바로 ‘커피’에 대한 터키 속담이다. 커피는 터키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기호식품이 되었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도 ‘커피 한 잔 하자’라는 말을 건네며 인사를 나누는 것이 어색하지 않고, 친구를 만나면 커피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이렇듯 커피는 우리의...
View Article네덜란드 - Vrije University
글 : 조시연 경제대학 경제학과 - 교환 학생 - 2016학년도 1학기 출국일 : 2016년 1월 29일 학기 시작일 : 2016년 2월 1일 1달 네덜란드에 도착하면 대학에서 주는 서류 들고 IND office에 가서 등록하면 한 달 정도 지난 후 오피스에서 연락이 옵니다. 저는 연락이 오지 않아 한 달 정도 지난 후에 IND office에 찾아가...
View Article'힙찔이'가 추천하는 힙합 음악
글 : 이서진 고등학교 1학년, 친구가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는 래퍼 남자친구가 생기면서 힙합이라는 장르를 알게 됐다. 빅뱅이 하는 음악들을 힙합이라고 생각했던 나는 친구가 가끔 들려주는 벅와일즈 음악을 듣고 신선한 충격에 빠졌다. 가사에서 라임이나 펀치라인을 찾는 것도 즐거웠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간다는 점에서 힙합음악이 마음에 들었다. 그 후 나는...
View Article학생인재개발팀 새 보금자리
2016학년도 2학기 개강과 함께 경영관 1층에 눈에 띄는 변화가 찾아왔다. 본래 600주년 기념관 1층에 있던 학생인재개발팀이 경영관 1층으로 이관했다. 학생인재개발팀과 함께 기업가정신과 혁신 센터(경영대 이원준 교수)도 자리를 잡았다. 이번 커버스토리에서는 새롭게 경영관에 자리한 학생인재개발팀과 이번 해 신설된 기업가정신과 혁신센터에 대해 알아보자....
View Article장하이옌 학우
이번 외국인의 성대생활에서는 중국계 한국인인 장하이옌을 만났다. 중국에서 온 그녀의 한국 이름은 강해연이다. 올해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학과에 진학한 그녀는 어렸을 때부터 한국문화를 접하면서 기회가 된다면 한국에 와서 공부를 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런 그녀가 한국에서 어떤 것들을 배워가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었다. 그녀는 중국에서 미디어를 통해 한국을...
View Article역사학 교수 하원수
“안녕하세요. 저는 역사를 가르치는 50대 후반의 역사 선생 하원수입니다. 제 소개를 간단히 하자면, 사람을 좋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중국 당송(唐宋)시대 역사에 관심이 많은데 특히 지식인들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학교에서는 중국의 원(元)대까지의 역사에 대한 ‘중국의 역사1’이라는 수업과 중국사 사료를 직접 읽고...
View Article연기예술학과 김남주 학우
작년 MBC 인기 예능 프로인 ‘마이리틀텔레비전’에서 우리 학교 김현아 교수, 졸업생 권해봄 PD, 재학생 연기예술학과 15학번 김남주 학우로 이루어진 성균관대 3명의 활약은 한동안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했다. 요즘 사회 각 분야에서 우리 학교 졸업생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성대생은 지금’ 섹션에서는 연예 활동 쪽에서 뛰어난 활약을 한 인기 걸그룹...
View Article신정근 교수의 동양사상입문
우리 학교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기초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12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한다(15학번 기준). 기초인문사회과학 분야에는 외국어를 배우는 강의도 있고 철학입문, 언어학입문, 정치학입문 등 학문을 배우는 강의도 있다. 이번 수업속으로에서는 이들 강의 중 동양사상입문, 그중에서도 신정근 교수가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아이캠퍼스 수업인 동양사상입문에 대해...
View Article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건강센터'
학교에서 학생 복지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이번 킹고복덕방에서는 학내건강센터와 카운슬링센터에 대해 알아보았다. ▲ 자연과학캠퍼스 건강센터와 카운슬링센터 학내 건강센터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한 생활을 목적으로 질병의 조기발견, 진료 및 진료알선, 건강상담, 학생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지원한다. 진료과목은 내과, 가정의학과, 치과,...
View Article스타트업 동아리 노벨러
특유의 젊음과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무장한 대학생들이 창업에 도전하고 있다. 창업 전성시대가 도래한 지금 창업을 꿈꾸는 20대의 수가 증가하면서 전국 대학가에 창업 동아리 열풍이 불고 있다. 정부 또한 대학생들에게 창업 마인드의 확산과 개척정신을 갖춘 미래 기업가를 양성하기 위해 청년 창업에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 전국 대학 창업동아리의 수가 약...
View Article크라우드펀딩
‘단결은 힘’이라는 말처럼 공동체는 어려운 일도 해내는 힘을 갖고 있다. 공동의 힘이 발휘되는 일 중 하나가 바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다. 기부, 제품개발, 콘텐츠 제작 등 여러 분야에서 크라우드 펀딩은 누군가의 꿈을 실현시켜주는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문화읽기에서는 크라우드 펀딩과 국내외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 대해...
View Article1950~1970년대의 국민병(國民病), 결핵
글 : 김상태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역사문화원 교수 1950년대 한국 사회라면 단박에 떠오르는 개념어들이 있다. 분단, 멸공, 장기집권, 부정선거, 절대적 빈곤, 삼백산업(三白産業), 부정부패, 실향민, 판자촌 등이다. 그런데 한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고은 시인이 1958년 문단에 나올 때 발표한 시는 이 개념어들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고 순수 서정시도...
View ArticleS대 이야기 #10. 방심은 금물
개강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9월의 막바지입니다. 한 학기를 다녀 본 재학생들이라면 이맘때 쯤 항상 확인하는 기간이 있는데요. 이번 S대 이야기에서는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교훈 하나 드리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은 꼭 저처럼 실수하지 마세요! ^_ㅠ
View Article남재욱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화학공학부 남재욱 교수가 지난 9월 20일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에서 개최된 세계코팅과학기술학회(ISCST: International Society of Coating Science and Technology) 학술대회에서 2016'스크리븐 상(L. E. Scriven Young Investigator Award)'을 받았다. 남재욱 교수는 '슬롯 코팅 공정...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