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교직원 학습조직, 번역 출간
성균관대 교직원 학습조직, <제4차 교육혁명> 번역 출간 - AI시대 교육의 변화 및 미래대학의 방향 모색 성균관대 교직원 학습조직(염동기, 박정호, 홍창완, 권제훈, 김선효, 임규선)이 앤서니 셀던의 <The Fourth Education Revolution Reconsidered(2020)>을 번역한 <제4차...
View Article머신러닝과 사회과학적 상상력
머신러닝과 사회과학적 상상력: 제1회 소셜이노베이션 취·창업 비교과프로그램 개최 소셜이노베이션 융합전공 및 <BK21 다중격차 해소와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데이터기반 소셜이노베이션 교육연구단>(이하 “소셜이노베이션 교육연구단”)에서는 2월 15일부터 19일까지 ‘머신러닝과 사회과학적 상상력: 제1회 소셜이노베이션 취·창업 비교과프로그램’을...
View Article학부생 4인(정유진, 정인경, 정주영, 최수인) 학우, 사회복지 공모전서 잇따라 우수상 수상
학부생 4인(정유진, 정인경, 정주영, 최수인) 학우, 사회복지 공모전서 잇따라 우수상 수상 정유진(사회복지18), 정인경(경영18), 정주영(정치외교16), 최수인(사회복지18) 학우는 ‘제3회 서울시 복지정책 제안 공모전’에서 우수상(3위)을 차지하여 상금 100만원을, ‘아산재단 대학(원)생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전’에서도 우수상(2위)을 차지하여 상금...
View Article2021 대계열 신입생 학교 방문 융합 LC Team Building 실시
2021 대계열 신입생 학교 방문 융합 LC Team Building 실시 학부대학(학장 홍승우)은 2021학년도 대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2.15(월)~17(수) 3일간 양 캠퍼스에서 2021학년도 융합 LC Team Building 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마스크 착용, 손소독제 비치, 방역거리 준수 등 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준수하여 진행됐다....
View Article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 양식미역이 자연산보다 유전적 다양성 높다는 연구 발표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 양식미역이 자연산보다 유전적 다양성 높다는 연구 발표- 미역 진화과정 규명하여 국제 학술지 게재, 미역 육종 연구 및 신품종 개발 박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조류인 미역(Undria pinnatifida)의 유전체를 해독하여 미역의 유전적 다양성과 분포 역사를 파악한 논문이 ‘Nature Ecology and Evolution...
View Article청색 OLED 초격차 신기술 개발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이준엽 교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최현호 상무 공동 연구팀, 청색 OLED 초격차 신기술 개발- 고효율/장수명 청색 OLED 분야에서 세계 최고 성능의 청색 소자 개발TED 발광 메커니즘 및 소자 특성이준엽 교수 / 이경형 박사과정 □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는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이준엽 교수(제1저자 이경형 박사과정)와 삼성전자...
View Article선한 영향력 SeTA 프로그램 청년 창업팀 “수앙쿠앙”
우리 대학은 대학 내 창업교육 활성화를 통해 교내·외 예비창업자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하여 사회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창업지원단, 창업교육센터, 기업가정신과 혁신센터 등 다양한 창업교육 및 지원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이러한 여러 지원기관을 통해 창업교육, 창업지원, 유망사업 투자 등 창업의 3대 영역에 대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먼저 교육...
View Article꼬마전용ATM기 진석훈 학우
세상엔 참 고마운 사람들이 많다. 대가 없이 누군가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네기는 쉽지 않지만 고맙게도 세상엔 대가 없는 도움을 건네는 이들이 존재한다. 우리 대학 커뮤니티 중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가진 에브리타임에 들어가면 많은 학우들이 도움을 주고받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별히 정성스러운 선의를 베푸는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449호...
View Article말레이시아에서 온 판이리 학우
아무리 1월이 공식적인 한 해의 시작이래도 겨울방학을 지내는 학생들에게는 차가운 바람이 잦아들고 베란다에서 묘한 훈기가 감도는 2월 중순쯤이야말로 새로운 한 해의 출발이다. 며칠 전 2월 3일은 입춘(立春)이었다. 또 다른 계절의 시작을 준비하며 성균관대학교 학생들은 각자의 일상을 꾸려갈 채비에 한창이다. 모두가 분주한 가운데 이번 <외국인의...
View Article‘클릭 한 번이면 바로 집 앞에’
코로나19로 비대면이 강조되고, 지난해 12월 23일부터 5인 이상 집합 금지 명령까지 더해지면서 여러 사람들이 사적 모임을 하는 식당, 카페 등 야외 시설의 이용률이 급격히 감소했다. 사람들은 집이나 기숙사 등 개인적 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했다. 물건을 사러 가는 일, 외식하러 가는 일, 야외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일도 삼가고 대부분 집에서 대신...
View Article프레시맨가이드(Freshmen Guide)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로 행사가 열릴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지만 2월만 되면 항상 새내기들의 가슴을 설레게하는 것이 있다. 바로 ‘오리엔테이션’이다. 고등학교 입시에서 벗어나 진정한 대학생이 되는 첫 발걸음을 맞이하는 순간만큼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은 없을 것이다. 이번에는 ‘OT에서의 짧은 인연을 평생 인연으로’란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새내기들을 맞이하기...
View Article일루미네이팅 & 얼티밋 그레이
팬톤사 내 팬톤 컬러 기관은 매년 시즌 트렌드를 예측하는 역할과 함께 올해의 색을 발표해오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년간 팬톤사에서 제공해온 올해의 색상은 인테리어, 그래픽 디자인, 패션 등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2016년 발표한 올해의 컬러 ‘로즈 쿼츠와 세레너티’는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을 것 같다.팬톤...
View Article치아의 일생
글 :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최치원아기가 태어날 때는 유치 20개의 씨앗을 잇몸 속에 품고 태어난다.이 유치는 6년~12년 동안 아이의 식사와 말하기 등 값진 역할을 담당하고, 유치교환기 때 빠지면서 평생을 가지고 살아갈 뽀얗고 하얀 영구치 32개(보통)의 씨앗 역시 세상에 내 보낼 준비를 하며 작은 숨을 내쉬며 기다린다.젖먹이 신생아들에게 앞니가 돋아나는...
View Article"그분과 같이 연구 할 수 있다면..."
글: 의과대학 의학과/기초의학대학원 류동렬 교수“너, 제정신이냐? ......”10여 년 전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마치고 박사후연구원으로서 더 많은 경험을 쌓기 위해서 스위스로 가기로 했을 때, 주변의 한 교수님에게 직접 들은 말이다. 원색적인 표현으로 조언하신 그 교수님은 아마도 당신이 생각하는 ‘성공의 유일한 길(?)’로부터 멀어지는...
View Article미장센, 영화를 들여다보는 렌즈
영화 작품에 대한 평가는 가지각색이지만 우리는 ‘미장센이 뛰어난’, ‘미장센이 돋보이는’과 같은 표현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영화 감독에 대해서 말할 때도 감독의 미장센에 대한 평가는 항상 등장하곤 한다. 2019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기생충>도 미장센이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렇다면 미장센이란 무엇인가? 영화와 관련된...
View Article영국 - Aston University
글 : 강민지(경영 18)♥ 2020년 1월 18일 출국, 2020년 1월 20일 학기 시작, 5월 21일 학기 종료! ♥◇ 비자 신청 절차영국의 경우, 한 학기(6개월 이내)만 공부할 때에는 따로 비자를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파견 학교의 Acceptance Letter, 숙소 증명서, 잔고 증명서, 항공권 등이 필요하다고 들었지만, 런던 히드로 공항...
View Article같이해요 ep.5 수강신청 같이 해볼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zdpQHpnyHIw 취재 김태희 정해린 황희진 기자 / 편집 김민정 김예빈 기자
View Article입학식에 AI총장이 떴다
성균관대학교 입학식에 AI총장이 떴다. 성균관대학교 입학식에 AI총장이 등장해 화제다. 2.19(금) 온라인으로 개최된 입학식에서 AI총장이 신동렬 총장을 대신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첫 수업」(총장 훈사)을 진행했다. 대학에서 AI총장을 선보인 것은 처음이다. 영상은 성균관대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입학식 영상 -...
View Article코로나19 치료제로서 새로운 역할 가능성 제시
약학과 신주영 교수 연구팀,DPP-4 억제제,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새로운 역할 가능성 제시 [그림1] 좌측부터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1저자 노윤하 연구원, 공저자 오인선, 정한얼 연구원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1저자 노윤하 연구원, 공저자 오인선, 정한얼 연구원)이 제2형 당뇨병(이하 당뇨병)을 동반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DPP-4...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