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good7101910님의블로그
Browsing all 2392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존경각 소장 『춘추경좌씨전구해』보물 지정 - 그리고 존경각 알아보기

우리 대학 캠퍼스 곳곳에는 옛 성균관의 흔적이 남아있다. 성균관의 대표적 건물인 명륜당 뒤쪽에는 존경각이 자리하고 있다. 존경각(尊經閣)은 성균관 유생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성종 재위 6년(1475), 조선시대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에 설립된 도서관이다. 존경각은 ‘경서를 공경히 보관하는 누각’이라는 뜻으로 성종이 직접 하사한 이름이다. 우리 대학은...

View Article


제8회 학생성공스토리 특강 이나영 학우의 즐거움을 디자인하자!

지난 5월 10일(화)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영관에서 제23회 학생성공스토리 특강이 열렸다. 이번 특강의 연사 이나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20) 학우는 ‘즐거움을 디자인하자! 꼬리에 꼬리를 무는 디자인 학도의 도전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펼쳤다. 예술대학 학생으로서는 처음으로 학생성공스토리 특강의 연사를 맡아 자신의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며...

View Article


대학로의 꽃, 공연 한 편 어때요?

혜화역을 나서면 마로니에 공원에 앉아 햇살과 여유를 즐기는 사람들, 어딘가로 바쁘게 걸음을 재촉하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온다. 밤바람이 살갗을 스치는 시간에는 거리를 무대삼아 흘러나온 노랫소리를 따라 어느새 흥얼거리고 있기도 하다. 길목을 지나면 문화예술의 성지 대학로답게 극장들이 쭉 늘어선 거리가 펼쳐진다. 극장은 저마다 각기 다른 삶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

View Article

자과캠 근처 드라마 촬영지 투어

지난 490호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자연과학캠퍼스 근처 드라마 촬영지로 떠나보았다. 수원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수원화성을 보유하고 있는 곳인 만큼 역사 드라마의 단골 촬영지다. 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볼거리가 넘쳐나는 젊은이의 거리 행리단길은 다양한 장르 드라마의 촬영지로 활용된 바 있다. 종강을 맞이하여 자과캠 근처 드라마...

View Article

고민돼? 꼬아버려! 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날려줄 브레이드 헤어

대학축제를 시작으로 페스티벌의 계절, 여름이 성큼 다가왔다. 화려한 페스티벌에 걸맞게 화려하게 몸을 치장하는 당신, 하지만 머리는 항상 긴 웨이브 머리만 고수하고 있다면? 이번 킹고스타일을 주목하자. 당신을 ‘페스티벌 퀸’으로 만들어줄 브레이드 스타일링을 준비했으니. 브레이드 헤어(Braid hair)란 땋은 머리카락이라는 뜻으로,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View Article


조원빈 교수의 정치학 입문

정치학이라고 하면 어려울 것 같고, 그 방대한 범위에 지레 두려움을 갖는 사람이 많다. 이때 두려움을 떨치고, 정치학에 대한 탄탄한 기본 지식을 쌓게 해주는 강의가 있다. 바로 조원빈 교수의 정치학 입문이다. ☞ 수업방식 본 강의는 중대형 온라인 강의로 해당 주차에 올라온 강의를 기한 내에만 들으면 되기에 대면 수업이나 실시간 강의보다 비교적 자유롭다....

View Article

이중원 교수의 건축 오디세이 1편에 다 싣지 못한 인터뷰 ②

[편집자주 : 이글은 5월 4일 인사캠에서 이중원 교수를 만나 그의 책 『건축 오디세이』에 관한 인터뷰를 한 내용의 연장입니다. 이 한권의 책에 다 싣지 못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재미있고 이중원 교수가 직접 스케치한 그림이 놀랍습니다. 자신을 건축개미에게 물렸다고 말하는 이중원 교수. 책속에만 숨겨 두기 아까운 그의 스케치 그림을 이 한권의 책에서 못다한...

View Article

절대미인 서왕모(西王母) 이야기 Ⅱ

글 : 조민환 동아시아학과 교수 3. 절세미인으로서 장식미인 서왕모 앞서 기술한 서왕모의 이상과 같은 언급에서 주목할 것은 무시무시한 반수반인의 서왕모가 ‘머리꾸미개’를 하고 있다는 이른바 ‘여성성’과 관련된 것이다. 전통적으로 중국문화에서 미인을 말할 때 사용하는 용어들이 많다. ‘우유빛 피부의 엉긴 기름[凝脂]’, ‘방정한 매미 이마와 초승달 모양처럼...

View Article


인사캠 교내식당 유명 먹거리

인사캠 명물!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 저희 성균웹진이 인사캠의 유명한 먹거리들을 소개하고자 직접 체험해보는 영상을 담아봤습니다. 영상을 통해 함께 체험해보아요 . https://www.youtube.com/watch?v=S3jVEIfrgnU&t=175s 취재 강민지외 2 기자 편집 이수경 기자

View Article


[성균관대 유생들] 9화. 대동제 구경 (학교 축제)

취재 , 편집 이수민 기자

View Article

파키스탄에서 온 나자프 루밥 연구원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는 말이 있다. 이번 <외국인의 성대생활>에서는 끝없는 학구열과 도전정신으로 자신에게 찾아온 기회를 손에 쥔 인터뷰이를 만나봤다. 파키스탄에서 온 나자프 루밥 연구원이 들려주는 학사에서 박사까지의 이야기, 그리고 박사 후 연구원으로서의 생활을 들여다보자.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나자프 루밥(Najaf...

View Article

신인데뷔전 신인상, 무용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김명선 원우

지난 4월, 한국현대무용협회에서 주최하는 ‘청년예술가 육성프로젝트’ 제29회 신인데뷔전이 열렸다. 신인상의 주인공은 우리 대학 무용학과 석박통합과정생 김명선 원우였다. 김명선 원우는 작품 <11,304m>로 상위 4개 팀 중 1등을 차지하며 신인상을 거머쥐었다. 다소 어렵고 멀게 느껴질 수 있는 무용. 김명선 원우가 생각하는 무용이란 무엇일까?...

View Article

‘동사’의 꿈을 찾으세요 – 최태성(사학과 90) 동문

역사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기록하는 오답노트다. 과거 인간의 모습은 현재의 모습과 닮았고, 오늘의 사건은 내일의 역사가 된다. 시대를 막론하고 올바른 길은 정해져 있고, 우리는 역사를 배움으로써 선조들의 가치를 ‘공유’한다. 이번 인물포커스에서는 역사교육자로서 과거의 가치를 전하는 최태성 동문과 그가 말하는 ‘공유’하는 삶을 다뤄보았다. Q. 간단한...

View Article


안티고네 인 성균관 : 청춘, 과거와 현재의 성균관을 잇다

지난 6월 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진행된 연기예술학과의 연극 공연 '안티고네 인 성균관'이 화려한 막을 내렸다. 안티고네 인 성균관은 소포클래스 원작의 그리스 비극 '안티고네'를 성균관대의 장소성과 ‘저항’ 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연이다.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는 이 작품으로 ‘제30회 젊은연극제’ 에 참가한다. 안티고네 인 성균관은...

View Article

브랜드의 가치를 전하는 ‘팝업스토어’

우리는 집에서 터치 한 번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취향과 체형에 맞는 의류부터 새벽에 받는 싱싱한 재료, 바다를 건너온 해외 제품까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손가락을 몇 번 까딱이다 보면, 어느새 집 앞이 택배 상자로 가득 찰 것이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밖으로 눈을 돌려보면, 여러 가게에 사람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온라인이 제공하는...

View Article


한번 빠지면 출구없는 매력 야구동아리 HeuVec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다.” 이보다 더 야구를 잘 표현하는 문장이 있을까? 경기 내내 벌어지는 선수들 간의 보이지 않는 수싸움은 긴장감을 유발한다. 9회 세 개의 아웃카운트가 모두 올라가기 전까지 그 누구도 결과를 확신할 수 없는 스포츠. 이것이 야구다. 이번 동아리탐방에는 성균관대학교 야구동아리 HeuVec을 취재했다. 오늘도 HeuVec은 그라운드에서...

View Article

배한용 교수의 촉매유기반응 연구실

이번 연구실 탐방은 화학과 배한용 교수의 촉매유기반응 연구실(Reaction design & Catalysis Lab)을 취재했다. 배한용 교수의 촉매유기반응 연구실은 재료과학 및 생명과학 응용을 위한 유기촉매반응의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물에서 가속화되는 새로운 시너지 유기촉매 반응 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Nature...

View Article


통찰지능 :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

최연호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새 책 <통찰지능>을 출간했다. 통찰지능(InQ)은 경험으로부터 얻는 후견지명에서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선견지명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최 교수가 지능지수(IQ)와 감성지수(EQ)를 합쳐 세상살이의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능력이라며 새로 만든 단어다. 저자는 앞서 2020년 발표한 <기억...

View Article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김영민 저

일상 속 다른 시선을 읽고 싶은 당신이라면 살아가며 지나치는 모든 대상들에 관심을 가지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사려 깊은 사람들이 쓴 책을 통해 그들의 통찰을 얻곤 한다. 통찰이란, 자신의 주변 환경을 새로이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일상 속 통찰을 에세이 류의 책을 읽는 가장 큰 이유로 꼽기도 한다....

View Article

화를 다스리는 근본적인 비결

글 : 고재석 유학대학·학부대학 교수 분노의 감정이 이는 상태를 ‘화난다’고 한다. 불처럼 뜨거운 분함이 마음에서 일어나 열이 나기 때문에 ‘불 화(火)’자를 쓴 것이다. 게다가 분노가 사회에 만연해서인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킹 받네’라는 신조어가 유행한다고 한다. 마음에 불이 나 ‘열 받다’에 킹(KING)을 붙여 극도로 화난 감정 상태를 표현한...

View Article
Browsing all 2392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